요즘은 수동기어는 정말 보기 힘듭니다. 2000cc 중형은LF 소나타이후 더이상 수동변속기를 생산하지 않고 포터 봉고 트럭이 아니면 수동 변속기는 선택조차 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오토메틱 기어 방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수동 변속기의 단종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의 원리와 특징은 다음에 알아보고 단순히 수동 변속기의 단종은 편리성과 전자화라고 생각합니다. 차가 멈추고 출발할 때 마다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넣고 브레이크를 때면서 클러치를 넣는 수동 변속기 조작은 초보자에게는 아주 힘든 일입니다. 정차한 곳이 오르막길이라면 더 힘들죠. 이러한 편리성의 이유가 수동 변속기의 가장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두번 째는 자동차의 전자화입니다. 자동차는 여러가지 기능을 위해 대부분 컴퓨터로 제어 되고 있습니다. 수동 변속기면 컴퓨터가 제어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여러가지 자동차 제어를 자동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수동 변속기 채용으로 포기해야할 여러 첨단 기능이 많아 제조사는 더 이상 수동 변속기를 채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자동 변속기의 종류
1. 칼럼식 기어 레버 : 칼럼식 기어 레버는 핸들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벤츠가 대표적이고 현대 트라제 XG, 기아의 카렌스에 적용된 적이 있습니다. 실내공간을 넓게 배치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2. 플로어체인식의 자동 기어 변속기 : 가장 친숙한 모델입니다. 보조석과 운전석을 나누는 기준이 되고 간단한 구조이고 가장 많이 적용된 타입 입니다. 일자, 계단형, 전자형태가 있습니다. 일자형태에서 충돌 사고시 변속이 되어 2차 사고 문제가 있어 일부 차량은 계단식으로 적용 된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3. 다이얼 방식 : 어떤 차든 기어 순서는 P R N D 입니다. D에서 N을 거치지 않고 R로 갈 수 없습니다. 중립을 거쳐 가면서 변속기 클러치를 보호 하는 역활도 하고 기어를 잘 못 넣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구조 입니다. 다이얼 방식도 플로어체인 방식 만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구성 할 수 있고 공간도 절약되어 최근 현대에서 많이 적용하는 타입니다.
4. 버튼 타입 : 버튼을 눌러 기어를 정하는 타입니다. 버튼이다 보니 익숙하지 않으면 오작동 위험이 있습니다. 오른 쪽 혼다의 경우 R을 뒤로 당기는 형태로 놓아 오작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구조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공간 효율성이 좋은 다이얼 방식이 맘에 드네요.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설로 인한 고속도로 고립 (원인, 탈출, 준비) (0) | 2022.12.17 |
---|---|
태풍4호 '에어리' 일본으로 꺾이나? (0) | 2022.07.02 |
초등학생 시력 여학생이 더 나쁘다? (0) | 2022.06.23 |
BMW I4 살까말까? (0) | 2022.03.31 |
댓글